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공유

2023년 서울시 임산부 지원 혜택 6가지 소개해 드릴게요. 미리 알아보고 놓지지 마세요.

by 헤비스녹 2023. 8. 26.
반응형

2023년 서울시 임산부 지원 혜택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저출산이 심해지면서 정부 차원에서 임산부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어요. 2022년 보단 2023년이 더 좋아진 혜택이 눈에 띄는데요. 앞으로 더 혜택이 좋아지면서 저출산 문제가 극복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23년 서울시 임산부 지원 내역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볼게요. 저희 부부도 요즘 아이 생각이 있어서 이런 혜택을 찾아보게 되더라고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좋은 혜택 놓치지 않고 가계 부담을 덜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작성해 봅니다.

2023년 서울시에서 임산부에게 지원하는 혜택은 6가지가 있습니다.

 

2023년-서울시임산부지원제도-썸네일
2023년-서울시임산부지원제도-썸네일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임산부에게 많은 금액을 지원하기 때문에 반드시 신청하시고 혜택 받아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임산부가 있는 집에서는 반드시 도움이 되는 정보라 확신합니다.

1. 첫만남 이용권(총 200만 원 지원)

가장 먼저 소개해 드릴 지원 제도는 첫만남 이용권입니다.

임산부-첫만남이용권-신청링크
임산부-첫만남이용권-신청링크

앞으로 소개해 드릴 제도 중에 지원 금액이 크고 아이와의 첫 만남이라는 문구가 좋아 보여서 가장 먼저 소개해 드립니다. 지원 대상 조회 하면서 바로 신청해 보세요.

지원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이는 첫 만남 이용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생 초기 부모가 느끼는 양육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 아이를 출산하고 1년간 사용 가능합니다. 

출생아 한 명당 총 200만 원을 바우처 형식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국민은행 행복카드 적립금)

임산부-지원제도
서울시 임산부 지원제도

지급조건

2022년 이후 출생 아동부터 지원 가능해요.

아동 출생 순서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분야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단, 지급목적에 벗어난 업종을 제외- 유흥, 사행, 레저 업종 등)

추가적으로 세금 및 공과금 납부, 상품권 구매 등도 불가능합니다.

신청방법

1. 복지로, 정부 24시 온라인 신청 가능

2. 거주지 동 주민센터 방문 시 신청 가능

준비물

본인 방문 시: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대리인 방문시: 대리인 신분증, 보호자 신분증 사본

 

2.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총 100만 원)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사업은 임산부에게 건강하게 아이를 낳을 수 있게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건강보험임신,출산,진료비신청 링크
건강보험임신,출산,진료비신청 링크

아이와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해 진료비를 지원해 주는 좋은 사업입니다. 위 사진을 클릭해서 바로 신청해 보세요.

지원내용

임신 1회당 100만 원의 바우처 지원 가능합니다.

또한, 다태아 임산부인 경우, 14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고 분만 취약자에 해당하는 분들은 20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으니 다태아거나 분만 취약자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잊지 말고 챙겨 받으세요.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신청 사진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신청

사용기한

국민행복 카드 수령 후 분만예정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분만예정: 출산진단, 유산진단 등)

신청방법

1. 방문 발급: 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해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2. 온라인 발급: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신청 혹은 카드사에 직접 전화를 걸어 신청도 가능합니다.

 

3. 부모급여 신청(연간 총 840만 원)

부모급여는 2023년 1월 1일부터 새롭게 받을 수 있는 임산부 지원 제도입니다. 

부모급여 신청 링크
부모급여 신청 링크

2022년까지 지원하던 영아수당(만 0세인 경우: 월 30만 원 지급)은 더 이상 지급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부모급여를 지원받더라도 육아휴직 수당은 수령 가능하니 꼭 꼭 알아두세요.

지원내용

2023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이가 있는 부모는 월 70만 원씩 부모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1년 동안 매달 지원받기 때문에 총 84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만 1세인 경우: 월 35만 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4년부터는 월 50만 원으로 금액이 올라가기 때문에 1년 동안 600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단, 만 0세 아이가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 급여에서 보육료를 뺀 금액만 지급되기 때문에 지원받는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만 1세인 경우 부모 급여가 보육료보다 적기 때문에 추가 지급은 받을 수 없습니다.

서울시 임산부 지원제도 사진
서울시 임산부 지원제도

신청방법

부모급여 신청 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1. 오프라인 신청 시: 거주지 동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2. 온라인 신청 시: 복지로, 정부 24시에서 신청 가능

 

4. 아동수당 지원제도(연간 총 120만 원)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0~95개월) 아동에게 소득기준, 재산기준에 상관없이 아동 한 명당 월 10만 원씩 지급됩니다. 지급일은 매월 25일입니다. 월 10만 원씩 총 1년간 받을 수 있는 지원 금액은 총 120만 원입니다.

아동수당 신청 링크
아동수당 신청 링크

또한, 아동수당은 위에서 소개해드린 부모급여와는 달리, 아이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더라도 받을 수 있어요.

(부모가 모두 외국인인 경우에도 아이가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면 지원 가능 합니다.

신청방법

아동수당 신청 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1. 오프라인 신청 시: 거주지 동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2. 온라인 신청 시: 복지로, 정부 24시에서 신청 가능

 

5. 임산부 교통비 (총 70만 원)

임산부 교통비 지원은 2022년 7월부터 시행된 제도입니다. 임산부들이 이동의 편의성을 높이고 출산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나온 제도라고 합니다.

임산부 교통비 신청 링크
임산부 교통비 신청 링크

임산부 혼자 병원 다니기에 힘든데 교통비 지원 제도는 정말 실용적인 제도인 거 같습니다.

지원내용

임산부 1인당 70만 원의 교통비를 지원한다.

임신 중 혹은 출산 후 3개월 이내에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 조건

신청일 기준 현재 6개월 이상(연속적으로)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임산부

(다문화 가족 외국인도 신청 가능. 하지만 부부 모두 외국인인 경우는 제외)

신청방법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1. 오프라인 신청 시: 거주지 동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2. 온라인 신청 시: 복지로, 정부 24시에서 신청 가능

 

6.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연 총 48만 원)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 링크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 링크

자기 아이에는 가장 좋은 음식만 먹이고 싶죠. 그런 부모의 마음을 잘 헤아리는 지원 제도인 거 같습니다. 다만 이렇게 친환경 농산물을 먹이고 나서 지원 후에 갑자기 친환경 농산물을 안 살 수가 없겠죠?

지원내용

12개월간 48만 원 상당의 친황경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매번 친환경 농산물을 주문할 때마다 20%의 가격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신청 대상

서울시에 주소를 둔 임산부 혹은 출산한 산모.

신청방법

다른 지원 사업과 달리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신청은 선착순으로 대상자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신청은 지정된 온라인 몰에서만 주문 가능합니다.

 

7. 임신해서 아이가 첫 돌이 되기까지 총 1378만 원 지원 혜택

처음 소개해드린 첫 만남 이용권부터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까지 모두 지원받으신 다면 아이를 출산하고 돌이 되기 전까지 총 1378만 원 상당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라도 놓친다면 너무 속상하겠죠?

 

위에 소개해드린 6가지 지원 제도 외에 추가적인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자치구별로 출산축하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자치구별로 지원 금액은 다르기 때문에 각자 거주하고 계신 자치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직접 확인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시 임산부 지원제도 사진
서울시 임산부 지원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