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육아정책 완벽 정리(첫만남 이용권, 부모급여 등) | 2024년과 바뀌는 점은?

by 헤비스녹 2024. 12. 7.

2025년 육아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에도 많은 혜택이 있었는데요. 2025년 육아정책 역시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오늘은 2025 육아정책을 2024년과 비교해서 유지되는 정책, 개선되는 정책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놓치지 마세요.

2025-육아정책-썸네일-사진
2025 육아정책

 

 

 

2025 육아정책 총 정리

 

첫 만남 이용권 1회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

 

대상: 2024년 이후 출생한 모든 신생아

 

지원 금액

첫째 아이 200만 원

둘째 아이 이상 300만 원


사용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가능

(잔액은 소멸)

 

지급 방식: 임신 출산카드로 바우처 형태로 지급

이용가능한 장소: 온라인 쇼핑몰, 백화점, 베이비페어 등

신청방법: 복지로, 정부 24,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첫만남-이용권-사진
첫만남 이용권

 

 

부모급여(매월)
(만 0세 100만, 만 1세 50만)

 

부모급여의 경우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차감 후 차액만 지급됩니다.

대상: 만 0세~1세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지급 금액

만 0세(0~11개월): 월 100만 원

만 1세(12~23개월): 월 50만 원

신청방법: 복지로, 정부 24/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부모급여-사진
부모급여

아동수당(매월)
만 0~7세 10만 원

 

 

대상: 만 0세 ~ 7세 미만 아동

지원 금액: 만 0세~7세 미만 아동에게 매월 10만 원 지급

아동수당은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월부터 소급 지급됩니다.

신청방법: 복지로, 정부 24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아동수당-사진
아동수당

출산직원금 비과세(최대 2회)
(기업이 지급하는 출산지원금 전액 비과세)
근로자 부담을 줄이는 취지에서 실행. 양육수당 비과세 처리와는 별개.

 

 

2024년에는 일부 기업 한정이었지만 2025년부터는 기업이 지급하는 출산지원금 전액 비과세(최대 2회)

(2021년 이후 출생한 자녀에 대해 소급 적용 가능)

신청: 회사별로 상이

 

조부모 돌봄 수당(지역별 상이)

 

조부모 돌봄 수당은 24년의 경우

서울, 경기, 경남 등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되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에는 전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대상: 조부모가 손주를 돌보는 가정

지원금액: 지역별 상이(서울 월 30만 원)

지역별로 지원금액 및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지자체별로 문의 필요

신청방법: 지자체 홈페이지, 지역 관할 주민센터

조부모-돌봄수당-사진
조부모 돌봄수당

전기세 감면
월 전기요금 30% 감면

 

전기세 감면은 출생 후 3년간 한전에서 전기세를 할인해 주는 제도입니다.

월 전기요금 30% 감면( 출생 후 3년간 월 16,000원)

신청방법: 한전 홈페이지

 

 

 

육아휴직 급여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인상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2025 육아휴직 급여 완벽정리 | 24년 대비 크게 인상된 급여는 얼마?

육아휴직 중 받을 수 있는 급여인 육아휴직 급여. 2025년에는 2024년에 비해서 육아휴직 급여 인상이 됩니다. 덕분에 육아휴직 기간에 조금 더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2025년 육아휴

ms0701.tistory.com

 

2025년에도 신생아에 관련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혜택내용을 잘 확인하고 지금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